<aside>
💡 개인적이나 팀적인 회고 모두 괜찮읍니다.. 좋았거나 아쉬운 점을 적으시라는것~
</aside>
Keep
- 필요한 기능을 동료에게 질문하면서 러닝커브를 빠르게 높힌 점
- 프로젝트 주제에 대해 구체적인 틀을 잡아놓고 진행 한 점
- 우리 프로젝트가 필요한 대상을 잘 선택한 점
- 근거 있는 개발을 진행 한 것
- 사전 조사 및 개발 가능 유무를 사전에 파악하고 진행
- 실제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사람과의 소통을 진행하여 필요한 것을 파악한 점
- 필요한 프레임워크, 서비스 등을 적절히 활용한 것
Problem
- 팀원마다 프로젝트에 대한 이해가 일치하지 않았던 점
- 엥 이 기능 아니었어? 하는 경우가 좀 많았던 것 같다
- 각자 어떤 일을 하고 있는지 소통이 부족했던 점
- 지식에 대한 공유가 부족했ㄷ ㅏ…
- 초현 아임 쏘오리,,(MongoTemplate)
- 개발에 몰두하여 깊이 성찰하지 못한 점
- 개인 기량 부족(가분수였다도르,,)
- 개인차가 있겠지만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시간이었을까..? 하는 의문
- 프론트도 힘들고(리스트형 자료구조가 아닌 문제) 백도 힘든(기능 미지원) NoSQL 구조
- 이거 정답이었을까…?
- 삭제에 유리하도록 짠 구조 과연 서비스 이용에 삭제가 많았을까…? 설레발 친 것 같다는 생각
- 수상을 목표로 둔 프로젝트를 한걸까…? 라는 의문이 들었음(주객전도)
- 미라클 로드 이거 잘 이루어졌지만,, 개발당시엔 사이즈가 크다는 생각에 막막했다
- 기능 구현을 위해 깊이있는 고민을 모두가 했을까,,,? 당장 보여주기 위한 기능을 얕게 건드린건 아닐까,,,?
- [개인] 팀에 필요한 자료구조에 대한 소통이 부족해서 팀원들이 고생을 많이 한 점
- [개인] 변경된 내용에 대한 알림이 부족했던 점
Try
- 이해가 일치하려면 더 많은 시간을 소통에 써야 하는데, 이는 짧은 개발 시간 때문에 어쩔 수 없다고 생각은 한다,,,
- 그러나 소통에 시간을 많이 써야 도중에 멘붕 타임이 줄어들 것이라고 생각
- 여러번 설명하지 않아도 잘 이해할 수 있도록 공유해야 하는 내용의 문서화를 잘 해놓자
- 팀이 같이 써야 하는 기술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서 최대한 러닝 커브를 높혀주자
- 스크럼을 진행할 때, 내가 어떤 일을 하고 있고, 어떤 부분에서 딜레이가 생기고 있는지 명확하게 설명 할 것
- 혼자 머리 싸매지 말고 일단 피드백을 받아보자